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스프링 부트
- Docker
- DFS
- Elasticsearch
- 스프링
- Spring Boot
- 월미도
- 쿠버네티스
- 스프링부트
- gcp
- 코드업
- 자료구조
- 백준
- VPC
- springboot
- 오일러프로젝트
- 백트래킹
- JPA
- Apache Kafka
- Kafka
- 클라우드 컴퓨팅
- 로드밸런서
- 인천여행
- 카프카
- 클라우드
- 프로그래밍문제
- Spring Data JPA
- aws
- Spring
- 알고리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L7 (1)
GW LABS
Google Cloud StudyJam (2) - GCP 둘러보기 (2/2)
저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 구성요소와 GCP의 기본적인 구조와 특징, 대표적인 서비스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봤다. 이번시간에서는 직접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여러 대의 가상머신에 로드밸런서를 연결하여 트래픽을 분산하는 방법까지 살펴보려고 한다. 예제 서비스 구조 이번 포스팅에서 구현해보려고 하는 서비스의 구조는 위의 그림과 같다. 사용자는 로드밸런서에 할당된 고정 IP(static ip)로 서비스에 접근한다. 그러면 로드밸런서는 트래픽을 분산하여 www1 가상머신이나 www2 가상머신에 요청을 보내게 된다. 각각의 www1, www2는 받은 요청대로 html 응답을 사용자에게 보낸다. 예제에서는 www1, www2로 트래픽 분산이 실제로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가상머신의 이름을 출력하는 html을 보내..
Infrastructure/Cloud Computing
2020. 12. 3. 1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