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알고리즘
- 클라우드
- springboot
- 카프카
- 로드밸런서
- aws
- 오일러프로젝트
- 스프링
- 머신러닝
- Elasticsearch
- Spring Boot
- Apache Kafka
- Kafka
- 프로그래밍문제
- 스프링부트
- Docker
- 스프링 부트
- 개발
- VPC
- 백트래킹
- 코드업
- 백준
- DFS
- gcp
- 클라우드 컴퓨팅
- JPA
- Spring Data JPA
- Spring
- 자료구조
- 쿠버네티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8/25 (1)
GW LABS

서론XGBoost는 분류 문제뿐 아니라 회귀 문제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알고리즘입니다. 특히 비선형 데이터, 결측치 처리, 대용량 데이터셋에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회귀 문제에서는 단순히 reg:squarederror 같은 기본 Objective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데이터의 분포와 목적에 맞춰 Objective를 선택하고, 적절한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정하면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XGBoost 회귀(Objective function) 활용법, RMSE와 MAE의 차이, Tweedie, Gamma 분포 회귀 적용법, 그리고 주요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본론1. XGBoost 회귀 Objective와 평가 지표 선택XGB..
MachineLearning
2025. 8. 25.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