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알고리즘
- 코드업
- gcp
- 클라우드
- 스프링 부트
- 클라우드 컴퓨팅
- Spring Data JPA
- VPC
- Kafka
- aws
- 월미도
- Docker
- 백준
- 스프링
- springboot
- Spring Boot
- 백트래킹
- DFS
- 프로그래밍문제
- 인천여행
- 로드밸런서
- 스프링부트
- Apache Kafka
- 쿠버네티스
- 자료구조
- 오일러프로젝트
- Elasticsearch
- JPA
- Spring
- 카프카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kubernates (1)
GW LAB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lgtU/btraXWtLBUZ/bejG7JX2CAYSFLDtk2j0B0/img.png)
이번 포스팅에서는 Private Subnet에 위치한 서비스들을 외부에 오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기본적인 구조는 Private Subnet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서비스들을 생성하고, Public Subnet에서는 로드밸런서를 두어서 로드밸런서로 들어온 트래픽을 Private Subnet으로 연결시키는 구조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KS를 사용하여 진행했지만 EC2와 로드밸런서를 직접 생성해서 트래픽을 연결시키는 방법도 공부가 필요하다. 전체 아키텍처 이번 실습의 전체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다. 이전 포스팅에서 Private, Public 서브넷을 나눴다면, Public에 위치해야 할 자원들은 NAT와 로드밸런서이다. EKS와 같은 쿠버네티스를 사용한다면 로드밸런서를 쿠버네티스 서비스를 이용해 자..
Infrastructure/Cloud Computing
2021. 8. 2. 1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