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ocker
- Spring Data JPA
- springboot
- 스프링
- 백트래킹
- 스프링 부트
- 클라우드
- 스프링부트
- 카프카
- Kafka
- 자료구조
- 프로그래밍문제
- VPC
- 인천여행
- Spring Boot
- Elasticsearch
- 쿠버네티스
- JPA
- Apache Kafka
- gcp
- 오일러프로젝트
- 월미도
- 알고리즘
- aws
- 코드업
- Spring
- 클라우드 컴퓨팅
- DFS
- 백준
- 로드밸런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20)
GW LABS
정렬을 이용한 문제이다. 좌표들을 정렬하고 나서 원래 갖고 있던 인덱스를 통해 조건에 맞는 값을 출력하면 되는 문제였는데 set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입력값들을 정렬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다른 풀이법으로는 이진탐색을 이용해서 풀이하는 방법이 있었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count; cin >> count; set cord_set; int* cords = new int[count]; for (int idx = 0; idx < count; ++idx) { int tmp; scanf("%d", &tmp); cords[idx] = tmp; cord_set.insert(..
인천 2호선이 생기면서 인천 구도심에서도 서구쪽 신도시를 편하게 다닐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침에 가벼운 마음으로 가정 루원시티 근처에 있는 청라호수공원을 둘러보기로 했습니다. 서구도 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탁트인 뷰와 아파트 단지의 산책로 덕분에 걷기 좋은 환경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정역에서 청라호수공원까지 걸어보면서 봤던 풍경들을 소개해드립니다. 가정역 근처 풍경들 가정역 근처를 나와보니 아파트 단지들을 볼 수 있었는데요. 2015년부터 가정 근처의 재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주거단지가 형성되었다고 합니다. 산책하기 좋은 심곡천 가정역에서 고속도로쪽으로 걸어오면 심곡천과 청라호수공원까지 걸어갈 수 있는데요. 30분 이상 걸어야하기 때문에 청라호수공원만 보실 분들은 버스를 이용하셔..
월미도에서 점심을 먹고 나서는 송도쪽으로 향했습니다. 월미은하레일을 타고 인천역으로 나가려고 했지만 또 시간이 안되어 걸어서 인천역까지 나왔습니다. 수인선덕분에 대중교통으로 인천 관광지를 여행하기 참 편해졌습니다. 송월동 동화마을을 보여드리지 못해 아쉽지만 다음 기회로 미뤄야했습니다. 월미공원 주변을 걸으며 코로나때문에 공원들이 모두 폐쇄되어 월미공원의 모습을 보여드릴 수 없었지만 월미공원 근처의 풍경도 볼만 했습니다. 은하레일을 통해 보시면 더 멋진 경치를 즐기실 수 있을겁니다. 인천대교 제작장으로 모교인 인천대학교 근처 인천대교 제작장까지 걸어서 살펴봤습니다. 학교를 다닐 때에도 자주 찾아가서 바다를 보곤 했었는데요. 인천대교 제작장에서 보는 바다는 또 다른느낌이어서 좋았습니다. 송도 센트럴파크까지 ..
저번 포스팅에서는 월미도에서 영종도까지 배편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보여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종도 구읍뱃터 근처에서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는 영종진 공원과 월미도에서 점심까지를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영종도에서 묵지 않을 예정이었기 때문에 오래 머물진 않았는데요. 그럼에도 봄날의 영종도 바다, 영종진 공원은 아주 멋졌습니다. 영종진 공원을 걷다 구읍뱃터에서 언덕쪽으로 올라오시면 영종진 공원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쪽에서는 벚꽃이 이미 다 지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영종도에서는 만개한 벚꽃을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바닷바람과 벚꽃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점이 아주 큰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월미도에서의 점심 3시간 정도 구읍뱃터 근처의 풍경을 감상하고 월미도로 다시 돌아갔습니다. 점심은 어렸을..
블로그를 시작한지 꽤 되었지만 저널 카테고리에 글을 많이 작성하진 않았습니다. 최근에 시간에 여유가 생겨 가까운 곳으로 걸어서 여행을 해보니까 마음에도 여유가 생깁니다. 항상 기술적인 글을 문어체로만 올려 블로그가 재미없는 느낌이었지만, 앞으로는 제가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글을 써보고 찾아와주시는 여러분께 공유드리고 싶습니다. 그 첫번째가 물의 고을 시리즈입니다. 저는 인천 토박이로 고향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습니다. 물의 고을 시리즈를 통해 여러분께 인천의 매력을 조금이나마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참, 시리즈 이름이 왜 '물의 고을'이냐 궁금하실 텐데요. 인천의 옛 지명 '미추홀'이 '물골'을 뜻합니다(링크). 월미도에서 영종도행 배편까지 아침 일찍 월미도에서 영종도행 배편을 타려고 인천역쪽으로 ..
웹 개발 업무에서 통상적인 비즈니스 로직만 다루다보면 사실상 멀티스레드, 멀티프로세스를 통한 성능향상을 경험해볼 기회가 많지 않다. 그러나 웹 개발의 근간이 되는 정적 웹 서버 혹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들만 해도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스레드를 통해서 사용자의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다뤄야 할 데이터의 크기가 GB, PB 급의 크기라면 싱글 스레드 혹은 싱글 프로세스로는 고객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번 멀티스레드, 멀티프로세스 포스팅 시리즈를 통해서 이론을 실제로 코드로 구현해보고 컴퓨터한테 어떻게 멀티태스킹을 효율적으로 시킬 수 있을지 알아보려고 한다. 프로세스 vs 스레드 먼저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간단히 복습해보자. 프로세스는 실행을 위해 시스템에 등록된 작업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각..
한동안 그래프 탐색 문제를 다뤄보지 않아서 복습겸, C++ 공부겸 기본적인 DFS 문제를 풀어봤다. 백준 2644번 촌수계산 문제는 인접 리스트 형태의 자료구조에서 DFS를 통해서 노드의 연결 깊이를 계산하는 문제였다. 인접 리스트이기 때문에 vector를 사용해서 풀었는데 파이썬 보다는 코드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아래는 소스코드이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search(int searchStart, int searchEnd, vector graph, bool visited[101], int count) { if (searchStart == searchEnd) return count; int answer = -1; visited[s..
2020 하반기 구글 클라우드 스터디 잼이 종료되었다. 약 한달간 스터디 잼이 진행되었고 무사히 수료할 수 있었다. 처음 스터디잼에서 계획한 것처럼 많은 부분을 공부하진 못했지만, 규모확장성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공부해볼 수 있어서 아주 좋은 경험이 되었다. 또 비용 걱정없이 GCP의 여러 서비스들을 사용해볼 수 있었던 점도 초보자에겐 정말 큰 혜택이라고 생각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기초적인 방법을 정리할 수 있었던 점은 아주 큰 수확이라고 생각한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 또 전혀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던 서버리스 컴퓨팅에 대해 새롭게 공부하면서, 실제 업무에서도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이전하게 되었을 때 얻을 수 있..